반응형

프로그래밍 62

Character.메소드 대소문자, 숫자 확인, 변환 메소드, isAlphabetic

Character 메소드 isUpperCase(); 대문자 확인 메소드 isLowerCase(); 소문자 확인 메소드 isDigit(); 숫자 확인 메소드 //대소문자, 숫자 확인 메소드 char ch1 = 'c'; char ch2 = 'C'; char ch3 = '1'; System.out.println(Character.isUpperCase(ch1)); // false System.out.println(Character.isLowerCase(ch1)); // ture System.out.println(Character.isUpperCase(ch2)); // ture System.out.println(Character.isLowerCase(ch2)); // false System.out.println(..

이차원 배열, 성적 입력 프로그램, 모스부호 해독

이차원 배열 출력 예제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MultiArray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multiArr01 = new int[2][4]; int val=1; for (int i = 0; i < multiArr01.length; i++) {//for 문 사용 출력 1234 for (int j = 0; j < multiArr01[i].length; j++) { System.out.print(multiArr01[i][j]=val++);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 System.out.p..

배열, 이차원 배열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Array0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01 = null; //객체 기본 타입 arr01 =new int [5]; arr01[0] = 112; arr01[arr01.length-1] = 150;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01)); //String java.util.Arrays.toString(int[] a) // 경로 클래스명 메소드명(파라미터) String str = Arrays.toString(arr01); System.out.println(str); int[] arr02 = n..

배열, foreach문

배열 Array index, length 위치 길이 배열은 객체 객체는 기본적으로 속성과 메소드를 가지고있다. 배열만 유일하게 속성만 가지고 있다. 배열은 동일(유사)한 타입의 데이터를 하나의 묶음 형태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료구조 속성은 배열의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 객체의 속성과 메소드 등을 호출할때는 .(점)을 이용한다. 배열의 선언 int[] arr01 = new int[10];//int 타입의 길이가 10인 배열 선언 double[] dArr01 = new double[5]; // doulbe 타입의 길이가 5인 배열 선언 char[] cArr01 = new char[15];// char타입의 길이가 15인 배열 선언 //int arr02[] = new int[5];// 사용가능 in..

for문(별찍기), switch문, while문, do~while문

for문 구구단 public class For0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 (int i = 1; i i; j--) { System.out.print("*"); } System.out.println(""); } for (int i = 5; i > 0; i--) { for (int j = 0; j < i; j++) { System.out.print("*"); } System.out.println(""); } } } 피라미드 별찍기, 영문자(N) 별찍기, 마름모 별찍기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For07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영문자 N //* * ..

조건문(if), 반복문(for)

사용자가 숫자를 입력하면 짝수인지 홀수인지 출력하는 프로그램 요구사항 1. 숫자를 입력하세요 라고 출력 2. 숫자 입력을 int input로 받아라 3. 짝수이면 "짝수입니다." 홀수이면 "홀수입니다."라고 출력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Input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숫자를 입력하세요 : "); int input = sc.nextInt(); if (input % 2 == 0) { System.out.println("짝수입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홀수입니다."); }..

연산자, 조건문(if, else if)

연산자 자바의 연산자 모든 프로그램이에서는 데이터를 연산하기 위해서 연산자를 사용한다. 자바뿐만 아니라 모든 언어에서 비슷하게 사용된다. 주의할점은 연산자의 기능과 순서 연산자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모두 외우기 보다는 자주 사용하면서 익숙해지는것을 추천 아래 나열되어 있는 연산자의 종류는 그 순서대로 정의 한것 1. 최우선 연산자 .(점), dot 클래스 또는 객체 소유의 변수, 메소드 등을 호출하는 연산자 ★★★중요★★★ [] 배열 () 2. 단항 연산자 ! 논리부정 ~ 비트 반전 +/- 부호연산 ++/-- 선행 증감 3. 산술 연산자 +, -, /, *, %(모듈러 - 나머지 값) 4. 쉬프트 연산자 , >>> 5. 관계 연산자 , =, !=, == 6. 비트 연산자 &, |, ^ 7. 논리 연산자 ..

변수, 데이터 타입, 형변환

// 2021-05-18 /* 능력단위명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능력단위요소 : 데이터베이스 기초 기술 활용 */ Variable 변수 변수를 사용하는 주 목적은 같은 타입(type)의 값이 프로그램 실행시에 자주 변경되어야 할 때 변수에 담아서 활용하기 위함 1. 변수의 선언(초기화) 규칙 (★★★★★) 변수는 특정 블럭{} 내부 어디에서나 선언 가능 메소드 바디 내부에서 처음 선언되면 = 지역(local)변수 클래스 바디 내에서 선언되면 = 인스턴스(객체) 변수 2. 변수가 처음 선언되어지면 그 변수를 포함하고 있는 블럭내에선 절대로 재선언이 불가능(중요) 동일 변수명(이름)으로 선언 불가 3. 변수가 처음 선언될때는 반드시 변수 좌측에 변수의 타입(type) 데이터 타입이 선언되어야 한다..

입출력 스트림과 파일 입출력

스트림 ​ 스트림(Stream) : 연속적인 데이터의 흐름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1. 스트림의 양끝에는 입출력 장치와 자바 응용프로그램이 연결된다 : 자바 응용프로그램은 입력 스트림과 출력 스트림과만 연결하고, 입출력 스트림이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고 실질적인 입출력을 담당한다. 2. 스트림은 단방향이다. 3. 스트림을 통해 흘러가는 기본 단위는 바이트나 문자이다 : 자바의 스트림 객체 = 바이트 스트림(byte stream = 이름 + Stream)(상관 x) / 문자 스트림(character stream = 이름 + Reader/Writer)(문자만 다룸) 4. 스트림은 선입선출, 즉 FIFO 구조이다 ​ ∴ 입출력 스트림 = 입출력 장치 ~ 프로그램 사이의 일련의 데이터 흐름 ​ ​..

제네릭과 컬렉션

컬렉션의 개념 ​ 배열(array) - 고정 크기 이상의 객체를 관리할 수 없다. - 배열의 중간에 객체가 삭제되면 응용프로그램에서 자리를 옮겨야 한다. ​ 컬렉션(collection) : 요소들의 리스트나 집합을 관리하는 자료 구조 - 가변 크기로서 객체의 개수(크기)를 염려할 필요 없다. = 요소의 추가, 삭제, 검색이 쉽다. - 컬렉션 내의 한 객체가 삭제되면 컬렉션이 자동으로 자리를 옮겨준다. ex ) Vector, ArrayList, HashMap, LinkedList, Stack ​ 1. 제네릭(generics) 기법 - 컬렉션 클래스의 이름에는 , (키), (값) 등이 항상 포함 - E에 구체적인 타입을 지정할 수 있고 (ex) Vector, 컬렉션을 일반화시키기 위해 를 사용하는 것 ∴ E..

반응형